프로그래밍 12

[JAVASCRIPT] return 함수 쓰는 이유 ! 쉽게 이해하기

[JAVASCRIPT] return 함수 쓰는 이유 ! 쉽게 이해하기  생활코딩 WEB2 JavaScript - 27.함수 (리턴) 강의 듣던 중 return 함수를 쓰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해짐.. 이고잉님이 설명해주신 부분을 듣고 또 들었지만 내 머리론 이해가 안감'그냥 함수 호출하고 중괄호 안에 코드 실행 시키면될 것을 왜 굳이 리턴을 쓰지...어차피 값은 똑같이 출력되는데..뭔 차이지?'열심히 서치하고 알아본 결과✅리턴 함수를 쓰던 안쓰던 값은 출력이 되지만 리턴 함수를 쓰면 함수 외부에서도 결과값이 유효함->함수 안에서 계산한 결과값을 리턴을 통해 함수호출한 쪽으로 되돌려주니까! 리턴 함수를 안쓰면 그 결과값은 함수안에서 끝나고 종료.(생활코딩 진도 잘나가다가 갑자기 이해가 아예 안돼 당황스러웠다)

[Python] 개행 - print(), end=' '

파이썬 출력문 print()는 기본적으로 개행이 되어 출력된다 end= ''는 개행 되지않고 다음 구문과 함께 나란히 출력된다 end라는 단어를 풀어 문자 끝을 조작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기본출력 print(1) print(5) 1 5 Q. 두 문자를 같이 출력하려면? 1. 앞서 말했듯 print()은 기본적으로 개행이 되기때문에 출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print()에 모두 넣어줌 print(1,5) 1 5 2. end='' 사용 문자 끝에 end='' 삽입 print(1, end='') print(5) 15 1과 2의 차이는 1은 1 5 두 숫자 사이에 공백이 존재하고 2는 15 두 숫자가 사이에 공백이 없다. (예외) 이건 정처기 실기 문제에 나와서 헷갈려서 올려봅니다 end='' 다음 print(..

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Replit (프로그램 설치X)

https://replit.com/ 공식 개발 언어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개발환경이라고 보면 됩니다 Start coding 파란박스 클릭해주세요 계정이 없으면 구글,깃헙,페이스북 아이디로 로그인 하심 됩니다 언어를 설정하기 전에 간단한 질문에 체크해주고 저는 간단히 테스트 할 것이 있어서 파이썬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다른언어를 사용하려면 왼쪽 상단의 가로줄 3개 클릭하고 + New repl 파란박스 클릭 웬만한 언어 다 지원해줍니다

[Java] 생성자 - this

(자바 입문 전 정처기 실기 공부하면서 제일 모르겠던 this) this 필드와 매개변수 명이 동일할 경우 this.필드로 표현 'this.필드'를 이용하여 필드를 이용한다 생성자의 코드를 해석하자면 - 매개변수 name의 값을 name에 저장한다 그럼 이 name은 필드일까? 매개변수일까? 원래 목적은 필드 name이다 ※ 하지만 매개변수명과 필드명이 동일 할 경우 매개변수가 우선 순위를 가진다! 그러므로 매개변수의 값을 또 매개변수에 저장해버린다 필드 name을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this.을 작성한다 우리는 우리자신을 표현할 때 '나'라고 하듯이 객체는 자기자신을 'this'로 표현 해석하자면 - name의 매개값을 나의 필드 name(this.name) 에 저장하라 this 요약 매개변수 명이..

[Java] 생성자 - 객체 초기화, 필드 초기화

생성자 객체를 초기화하여 생성한다 객체 초기화란 객체를 사용할 준비를 하는 것 변수 = new 클래스명(); 생성자 ※ 생성자 호출 시 phone myphone = new phone(); XXXXXXX 명시적으로 생성자를 선언해야 외부로 부터 데이터를 받아서 객체를 만들 수 있다 객체가 만들어지고 myphone에 저장 필드 초기화 실행결과 k1.name : 신자바 k1.ssn : 210629-1234567 k2.name : 이자바 k2.ssn : 210630-1234568 ※ Korean 클래스의 nation(국적)은 당연히 대한민국 이므로 "대한민국"을 고정값으로 설정한다 매개변수 명은 각각 n,s로 설정하였는데 매개변수 명이 짧으면 코드의 가독성이 좋지않아 일반적으로는 필드이름과 비슷하거나 동일한 이..

[Java] 클래스

클래스 자바의 설계도 인스턴스 (= 객체)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 클래스 멤버 - 필드 (객체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, 선언형태는 변수와 비슷하지만 필드는 변수와 다름) - 생성자 (클래스 이름으로 되어있음) - 메소드 (객체의 동작을 실행) ① 클래스 생성 ② 사용할 객체 생성 ③ 객체 이용 ˙ 클래스 선언 의미있는 클래스 이름 설정 -> 클래스명.java로 소스코드 생성 public class 클래스명 { } ˙ 클래스로 객체 생성하기 new 클래스로 부터 객체를 생성하는 연산자 new 뒤 클래스()는 생성자 역할을 한다. 변수 = new 클래스명(); 현실세계에서 물건의 위치를 모르면 물건을 사용할 수 없듯이, 객체지향 프로그램에서도 메모리 내에 생성된 객체의 위치를 모르면 객체 사용할 수 없습니다..